한국통일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 북한 주민들, 통일을 염원하지만 가능성은 낮게 봐 통일을 바라느냐는 질문에는 102명 가운데 97명이 매우 바라고 5명이 다소 바란다고 응답해 바라지 않는다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통일을 강하게 염원하지만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게 보는 의견이 많았다. 10년 이내가 27명, 20년 이내가 6명, 30년 이내가 23명, 불가능할거라고 응답한 사람이 46명이어서 통일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았다. 국력이 쇠퇴하면서 북한이 주도하는 통일가능성이 낮아졌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 통일을 원하는 이유는 경제가 좋아질 것이기에 통일을 원하는 이유로는 45명이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고 같은 민족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43명이었다. 심각한 경제위기의 돌파구로서 통일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 통일 한반도의 모델로 사회주의나 중국식 일국양제를 원해 통일이 어떤 체제로 이뤄지길 바라느냐는 질문에는 59명이 사회주의를, 41명이 중국식 일국양제(정치체제는 사회주의, 경제는 자본주의)를, 2명이 자본주의를 선택해 ‘평등’에 대한 선호도가 아주 높았다. 경제난이 심각하기 때문에 과거 사회주의가 작동되던 시절에 대한 향수, 시장에서 자유경쟁에 대한 두려움, 자본주의의 폐해를 오랫동안 세뇌 받아온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남한에 대해서는 상당수가 한류를 통해서 남쪽 소식을 접하고 있어서 북한보다 잘 산다(82명)는 것을 알고 있지만, 형제국가(38명)이기보다는 미국의 식민지(61명)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북한이 반미를 통치의 주요수단으로 삼아왔기 때문에 당국의 선전이 침투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통일을 위해서는 남한이 대북적대정책을 포기(22명)하고, 북조선 동포를 지원(29명)하며, 미국의 지배로부터 해방(51명)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 북한 주민들, 좋아하는 나라로 66%가 중국을 선택 가장 좋아하는 나라를 묻는 질문에는 남한(30명)보다 중국(67명)을 선택한 사람들이 많았다. 김일성이 중국에서 항일 무장투쟁을 해서 일제로부터 조선을 해방시켰고, 한국전쟁 때 중국인들이 도와줘서 나라를 지킬 수 있었다고 믿고 있었다. 경제위기 이후 양국 간의 인적?문화적 교류가 확대된 것도 북한 주민들이 중국을 좋아하게 된 이유 가운데 하나였다. 북한 주민들이 중국을 가장 좋아한다는 것, 통일과정에서 중국 변수가 커질 수 있음을 암시해 주는 대목이다. ■ 남북한 주민들, 한반도의 미래에 대해 의식의 공감대 없어 KBS가 세계 최초로 실시한 북한 주민 통일의식 조사는 표본 집단이 작고 성별, 세대별 안배도 부족하지만 하나의 경향성을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 북한 주민들이 자주의식과 평등의식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주체, 평등의식을 북한 당국이 오랫동안 주민들에게 세뇌해 온 결과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남북한 주민들이 통일에 대한 의식의 공감대가 없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편 북한 주민 통일을 말하다’ 에서는 102명의 북한 주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통일로 가는 길을 모색한다. ※ 이 영상은 2011년 12월 3일 방영된 [KBS 스페셜 - 북한 주민 통일을 말하다] 입니다. #북한 #통일 #중국
7월 27일은 바로 남북 정전 70주년입니다! 북한과 70년 동안 가까운 듯 먼 거리를 유지해왔는데요 세계정세 속에서 분단국가는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 통일은 선택인지, 필수인지! 찐 정치학자님께 여쭤봤습니다. 👨🏫진희관 교수 - 정치학 박사 - 前 통일부,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 前 북한연구학회 회장 - 現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 - 現 인제대 통일학연구소 소장 - 現 민화협 정책위원 ⏳Timeline 00:00 오프닝 00:03 한국의 경제성장이 끝장난 이유 03:59 당장 북한이 쳐들어와도 이상하지 않다고요? 06:51 미국과 북한을 멱살 잡고 끌고 가야 하는 이유 08:18 중국과 일본을 통일에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이유 09:37 현실적으로 '독일'처럼 통일이 가능할까요? 🎦제작 : 석진주 #정전70주년 #남북관계 #통일
#남한 #북한 #남북통일 #통일시기 #군사 #남북문제 #통일부 #민족통일 #윤석열대통령 #평화통일 #남북합의
〈앵커〉 북한이 우리에 대해 과거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대한민국이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지난주 열병식에서도 이 표현이 여러 번 등장했는데 이게 어떤 의미인지 김아영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지난달 27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열병식입니다. 국방장관 격인 강순남이 대표로 연설에 나섰는데 한미를 향한 원색적인 표현이 등장했습니다. [조선중앙TV : 미제호전광들과 윤석열역적패당은 과대망상적인….] 그런데, 북한 주민들에게도 공개된 육성 연설에서, 강순남은 여러 차례 대한민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우리 국호를 불러줬으니 언뜻 보면 우리를 존중하는 것 아니냐 생각할 수도 있지만, 뒤따라온 건 졸개, 역적 같은 거친 말들입니다. [강순남/북한 국방상 : 엄중한 것은 미국이 대한민국 졸개들과 함께 핵협의그루빠(핵협의그룹)라는 핵전쟁기구를 가동시키고…. 미제와 대한민국의 역적들은 감히.] 북한은 그간 우리를 남조선 또는 남측이라고 불러왔는데 지난달 10일 김여정 담화를 통해 대한민국이란 표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무렵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금강산 방문 계획도 대남 기구가 아닌, 외국과의 관계를 다루는 외무성이 거부했는데, 북한이 두 개의 한국, 투 코리아 정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쉽게 말해 서로 상관 말고 따로따로 살자는 의미로 대한민국이라는 호칭을 불러주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다만 북한도 생각이 완전히 정리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김정은이 지난달 12일 고체 연료 기반의 ICBM 화성 18형 발사를 참관했을 땐 전처럼 남조선이라고 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고, [조선중앙TV (지난달 13일 방송) : 김정은 동지께서는 미제와 남조선괴뢰역도들이 수치스러운 패배를 절망 속에 자인하고 단념할 때까지 보다 강력한 군사적 공세를.] 이번 열병식에서도 남한을 적화통일하자는 구호가 여전히 나왔습니다. [조국 통일! 만세!] '제발 서로 의식하지 말고 살았으면' 김여정이 딱 1년 전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내놓은 반응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이라는 명칭 사용이 이러한 생각의 구체화인 듯도 하지만, 용어 사용도 왔다 갔다 하고, 실제 북한의 행보를 보면 그 누구보다 우리 행보를 의식하고 있기도 합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정성훈) ☞더 자세한 정보 🤍 ☞[한반도 포커스] 기사 모아보기 🤍 #SBS뉴스 #열병식 #북한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 ▶SBS 뉴스 라이브 : 🤍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설민석의 더 많은 강의 보자! 공무원 ▶ 🤍 한국사능력검정 ▶ 🤍 🔽 단꿈교육 Official Channel 🔽 - Website : 🤍 - YouTube : 🤍 - Instagram : 🤍 - Facebook : 🤍 - Blog : 🤍 #단꿈교육 #설민석 #통일 #단꿈자격증 #단꿈공무원 #dankkum
※ 이 영상은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비행기나 배를 타야만 해외로 나갈 수 있는 우리. 섬이 아닌데 마치 섬처럼 느껴지는…. 남북 분단 전에는 기차를 타고 유럽까지도 갔다고 합니다. 평화가 찾아와 철길이 이어지면, 우리도 언젠가는 기차를 타고 유라시아 대륙을 누빌 수 있지 않을까요? 여행 못가서 미친자의 북한 여행 상상기…. 통일이 되면 갈 수 있는 곳들, 교양만두에서 소개합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 ㅣ 박도경 #교양만두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 #남북평화 * 참고 자료 - 『남북중 고속철도의 꿈』ㅣ진장원ㅣ국민북스 - 『조선여성 첫 세계일주기』ㅣ나혜석ㅣ가갸날 - 역사의 창고 ‘만철(남만주 철도)’을 찾아서…(중앙시사매거진, 박보균의 현장속으로) - 통일부 통일소식 내 카드뉴스 (북한철도, 과일군, 강원도, 등산 파트) - "손기정은 한국인" 위대한 마라토너 재조명 (KBS News) - 과일 자부심이 마을 이름에…북한 ‘과일군’ 외 (요즘 북한은/KBS News) - 자연 생생! 금강산 가는 길 '두타연' (KTV국민방송)
#통일 #남북통일 #한반도통일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통일이 되어야 하는 이유 1. 통일 찬성 0:00 2. 국가의 크기 0:29 3. 막대한 양의 자원 0:59 4. 지리적 이점 1:43 5. 국가 안정성 2:28 6. 분단 비용 절약 3:12 * Reference (1) 설민석의 통일 이야기 - 설민석 (2) 통일이 되면 나에게 무엇이 좋은가? - 설민석 * Music Ross Bugden - Fall 🤍youtube.com/watch?v=Bln0BEv5AJ0
▶ “제3차 세계 대전이 일어날 거라 걱정하는 나, 비정상인가요?” | 20150622 비정상회담 EP.51 전쟁은 우리와 상관없는 먼 나라 이야기다!? 제3차 세계 대전에 대한 걱정에 주위 사람들은 모두 코웃음을 칠뿐이라는데!? “제3차 세계 대전이 일어날 거라 걱정하는 나, 비정상인가요?”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 국가 간 힘의 격차가 존재하는 한 전쟁은 사라질 수 없다! VS 전쟁은 좋은 해결책이 아니다! 지금 전쟁이 일어난다면 잃을 게 너무 많다! 비정상회담 역사상 가장 전쟁 같은 토론! 세계는 얼마나 평화로울까? 세계의 평화를 둘러싸고 비정상회담의 토론 파이터들이 제대로 붙었다! 러시아 대표 일리야 VS 중국 대표 장위안! 그 싸움의 결말은?! 세계 패권의 중심은 “미국이다 VS 중국이다 vs 제3국가이다” 자리는 쉽게 바뀌지 않는 법! 패권은 여전히 미국이 가지게 될 것이다! VS 대륙의 힘을 무시하지 말라! 세계 시장의 중심인 중국이 차지하게 될 것이다! VS 미래는 누구도 알 수 없는 것! 제3국가의 패권 장악 가능성도 있다! G12에게 한반도 통일에 대해 묻는다! 외국인이 바라보는 한반도 통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모두를 감탄하게 한 비정상회담 공식 똑똑이 타일러의 해결책까지! 비정상회담의 꿀잼 코너! 글로벌 각 나라의 한발 늦은 이슈 〈늦었슈〉 모두를 경악하게 한 호주 남성들을 위한 란제리부터~ 마술이야? 마법이야?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한 캐나다의 공중부양 마술까지! [JTBC봐야지] 구독하기☞ 🤍
통일은 언제든 갑작스레 일어날 수 있는 것이어서 통일 한국에서 벌어질 미래를 미리 생각해보는 건 현 시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본 시각이란 점을 유념바란다. * 자료출처 travel oriented - wikimedia.org/wiki/File:Sinseondae_Day.png IAEA Imagebank - wikimedia.org/wiki/File:1637th_BOG_Press_Briefing_(01614384)_(52352272981).jpg Nicor - wikimedia.org/wiki/File:Demilitarized_Zone_of_Korea_23.JPG 대한민국 국군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wikimedia.org/wiki/File:2013._1_육군_15사단_DMZ_수색작전Search_Operation_in_DMZ_of_Republic_of_Korea_Army_15th_Division_(8670766638).jpg Uri Tours - wikimedia.org/wiki/File:Tank_in_the_DPRK_Victory_Day_Parade.jpg John Pavelka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n_Soldiers_(4610482003).jpg USAG- Humphreys - wikimedia.org/wiki/File:Camp_Humphreys_Construction_-_Hyundai_excavator.jpg Stefan Krasowski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27s_ballistic_missile_-_North_Korea_Victory_Day-2013_02.jpg Uwe Brodrecht - wikimedia.org/wiki/File:1389_-_Nordkorea_2015_-_von_Nampo_nach_Käsong_(22971409572).jpg Roman Harak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_Workers_at_Taedong_River_(5822416464).jpg (stephan) - wikimedia.org/wiki/File:People_walking_on_sidewalk_in_central_Pyongyang,_with_trolleybus_and_trams_in_background.jpg (stephan)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_Pyongyang_(1026288807).jpg Jan Bockaert Mack Male - wikimedia.org/wiki/File:Honeymoon_Part_3_Seoul_(15694879423).jpg Richard Mortel - wikimedia.org/wiki/File:Downtown_Seoul_(2)_(41087270502).jpg Minseong Kim - wikimedia.org/wiki/File:Ministry_of_Strategy_and_Finance(South_Korea).JPG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Jeon Han) - wikimedia.org/wiki/File:Korea_DMZ_Train_12_(14061926097).jpg Gazprom Peter Kersten - wikimedia.org/wiki/File:Trans-Siberian_Railway_89_01.jpg xue siyang (df45086) - wikimedia.org/wiki/File:巡道工出品_photo_by_Xundaogong_去往朝鲜的大卡车_Truck_to_DPRK_-_panoramio.jpg Senkaku Islands - wikimedia.org/wiki/File:中国図們辺境.jpg Roman Harak - wikimedia.org/wiki/File:Gate_to_North_Korea_-_Quanhe_Wonjong_Border_Bridge_-_Rajin_Sonbong_District_(8551885685).jpg Ffggss - wikimedia.org/wiki/File:1st_Incheon_International_Ferry_Terminal.jpg Baycrest - wikimedia.org/wiki/File:Aerial_view_of_Downtown_Sinuiju.jpg Mobius6 - wikimedia.org/wiki/File:Busan_Bridge_20200523_014.jpg 우희철 - wikimedia.org/wiki/File:First_APT_in_Sejong_City.jpg bryan... - wikimedia.org/wiki/File:Busan_Station_Busan_(31885854218).jpg Timothy Friesen - wikimedia.org/wiki/File:Korean_unification_flag_seoul_world_cup_stadium_2005.jpg Roman Bansen - wikimedia.org/wiki/File:Pyongyang_2012_in_front_of_Yongwang_metro_station_1.jpg (stephan)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_Pyongyang_Funfair_(1027009952).jpg IGEL - wikimedia.org/wiki/File:Seoul_Street.jpg gohsuket - wikimedia.org/wiki/File:Korean_National_Police_Agency_Building03.jpg Korea.net - wikimedia.org/wiki/File:PyeongChang_Olympic_Opening_Ceremony_14.jpg Spielvogel - wikimedia.org/wiki/File:1996_North_Korea_soldier_%2B_South_Korea_MP._Spielvogel.jpg (stephan)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_Pyongyang_(1026054925).jpg Stefan Krasowski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027_(6160319997).jpg Tristan Surtel - wikimedia.org/wiki/File:Namdaemun-ro_and_Aloft_Seoul_Myeongdong_by_night.jpg Tristan Surtel - wikimedia.org/wiki/File:Namdaemun-ro,_Seoul_02.jpg Uri Tours - wikimedia.org/wiki/File:Concrete_Wall_DMZ_North_Korea_(10074938124).jpg Matt Paish - wikimedia.org/wiki/File:People-street-north-korea-walk.jpg Rishabh Tatiraju - wikimedia.org/wiki/File:Korea_DMZ.svg NordNordWest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location_map_2.svg Chanilim714 - wikimedia.org/wiki/File:Board_between_China_and_North_Korea_-_panoramio.jpg Lance Vanlewen - wikimedia.org/wiki/File:Freedom_Bridge_at_Imjingak,_Demilitarized_Zone_(DMZ),_South_Korea.jpg Chinmayamahapatra - wikimedia.org/wiki/File:DMZ_train_Seoul_to_Dorasan.jpg Stefan Krasowski - wikimedia.org/wiki/File:North_Korea_Victory_Day_122_(9465927866).jpg Alain Seguin - wikimedia.org/wiki/File:Korea-Seoul-Yeouido-National_Assembly_Building-06.jpg (stephan) - wikimedia.org/wiki/File:DMZ,_North_Korea._(2605014254).jpg Lance Vanlewen - wikimedia.org/wiki/File:Peace_Altar_at_Imjingak,_Demilitarized_Zone_(DMZ),_South_Korea.jpg Uwe Brodrecht - wikimedia.org/wiki/File:1819_-_Nordkorea_2015_-_Bahnfahrt_von_Pjöngjang_nach_China_(22356102414).jpg HariHaran771981 - wikimedia.org/wiki/File:Magnesite_Mines.jpg Didier Descouens - wikimedia.org/wiki/File:Magnesite.jpg Lamiot - wikimedia.org/wiki/File:Plaque_d%27alliage_de_plomb-Antimoine-Arsenic_issues_de_batteries_dites_Acide-plomb_démontées.png Grasso Luigi - wikimedia.org/wiki/File:Zinc_nitrite.png Zbynek Burival - wikimedia.org/wiki/File:Graphite_from_Velke_Tresne,_Czech_Republic.jpg Nicor - wikimedia.org/wiki/File:Streets_in_Pyongyang_04.JPG Daniel Oberhaus - wikimedia.org/wiki/File:Korean_Demilitarized_Zone_(DMZ)_from_the_South_Korean_side.jpg http2007 - wikimedia.org/wiki/File:Korean_Demilitarized_Zone-01.jpg
지난 27일 북한 해군절에 즈음해 해군사령부를 찾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딸 주애도 일정을 함께 했습니다. [조선중앙TV (29일 보도) :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사랑하는 자제분과 함께 해군사령부에 도착하시자…] 지난 5월 이후 3개월여 만에 다시 공개 행보에 나선 주애는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며 존재감을 뽐냈습니다. 군인회관에선 해군 장병들이 꽉 들어찬 가운데 북한 최고위급 인사들이 앉는 주석단에 김 위원장과 나란히 앉았고, 작전지휘소에선 김 위원장과 함께 해군사령관의 공식 보고까지 받았습니다. 저녁에 열린 경축연회에선 주애가 테이블 상석에 앉아 해군 간부들의 주목을 받은 대신 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는 주애 양옆에 앉았습니다. 주애가 단순히 김 위원장과 행사에 동행했던 수준을 넘어 사실상의 후계자 수업을 받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장면들입니다. [정성장 /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 : 주애가 단순히 동행만 하는 게 아니라 김정은의 핵과 미사일 강국 건설 정책을 이어갈 후계자로서의 수업을 받고 있다는 강한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다만 후계자 구도를 논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의견도 여전합니다. 주애가 공개된 행사 15번 가운데 14번이 '군사 분야'에만 집중된 만큼, 후계자설이 탄력을 받기 위해선 더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개활동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홍민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주애가 그동안) 중요 무기와 관련해 같이 등장했다는 건 해군 전력 증강에 있어서 특정 무기나 특정 훈련이 새롭게 시작된다는 걸 예고하기 위한 코드로 보는 것이 맞지 않나.] 김 위원장의 후계 구도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 위원장이 직계 자녀를 통해 북한의 세습 통치를 대를 이어 계속하겠다는 메시지만큼은 분명해 보입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윤용준 자막뉴스:이선 #YTN자막뉴스 #북한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 기래' 남북정상회담 특집 [통일이되면] #3 통일이 되면 경제적으로 득일까? 실일까? 분단비용 VS 통일비용, 어느 것이 더 적을까? 통일 한국의 1인당 GDP는 9만 달러?! 통일이 되면 북한에 빚을 갚아줘야 한다는데?! 이제 만나러 갑니다 매주 일요일 밤 11시 방송
통일시 내수만 8,000만…세계 2위 경제대국 발판 [앵커] 당장은 먼 일처럼 느껴지지만 만약 남북이 경제협력을 넘어 통합까지 이루면 한반도에는 8,000만명에 달하는 소비시장이 생깁니다. 고속성장이 가능해 통일한국이 2050년에는 전세계 2위 경제대국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남북이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이면 인구는 단숨에 8,000만명으로 늘어납니다. 안정적인 내수시장이 형성돼 남북 모두 경제력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동북아 물류 허브로 도약해 시너지가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국과 러시아까지 철도와 도로 등으로 연결되면 동북아는 커다란 경제권이 형성됩니다. 우리 해운산업과 조선업, 관광업, 금융업이 동시에 성장하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겁니다.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북한에는 도로·철도·항만·환경·에너지·금융 등 전 시스템에 새로운 인프라를 깔아야 합니다.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여건이 되고요. 러시아와 중국까지도 우리의 새로운 시장이…" 이에 따라 남북통일시 한국이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세계적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첫 10년동안은 북한의 경제성장률이 7% 이상으로 치솟고, 20년 후에는 북한의 경제력이 남한의 절반 수준까지 좁혀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북한의 노동력과 국내총생산의 140배에 해당하는 광물자원, 그리고 남한의 기술과 자본이 결합하면 큰 시너지가 기대된다는 겁니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UBS도 지난 6월 통일시 북한지역이 연 20%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거란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당장 통일비용이 조금 많이 들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저성장을 타개하고 경제대국으로 우뚝 서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
세 명의 북한 주민들은 BBC와의 독점 비밀 인터뷰를 통해 전 세계에 북한의 상황에 대해 알리고자 한다. 지도자 김정은의 폭정 아래 북한 주민들은 외부인과 대화를 나누거나 접촉하는 것이 금지돼 있다. 이들은 3년 전 북한이 국경을 봉쇄한 이후 처음으로 북한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앙들, 굶주림과 잔혹한 탄압, 그리고 아무도 탈출할 수 없는 상황을 폭로한다. BBC가 비밀리에 인터뷰한 북한 주민 중 일부는 현재 북한의 상황에 대해 '최대한 빨리 전쟁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며 '정권을 통째로 제거해야만 사람들이 살 수 있다'고 밝혔다. BBC의 보도를 북한 정부에 전달하자 북한 런던 대사관 대표자는 이 정보들이 "모두 다 진실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BBC News 코리아: 🤍 #북한 #북한실태 #BBC #북한상황 #북한내부 #북한인권 #인권 #내부자들 #평양 #김정은 #BBCNews
북한의 생생한 리얼썰만 모았다! 가장 현실성 있는 통일 방법은? 통일이 되면 진짜 돈을 벌 수 있을까?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매주(일) 밤 11시 방송
【 앵커멘트 】 원자력발전소 자료 등을 유출했던 원전반대그룹이 이틀 연속 정부기관 문서로 추정되는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특히 관심을 끈 건 한반도 통일 관련 시나리오가 담겼다는 건데요. 어떤 내용인지 김태일 기자가 들여다 봤습니다. 【 기자 】 원전반대그룹이 해킹해 유출한 자료들입니다. 이 중 한미연합훈련과 관련된 사항을 기록한 자료가 눈에 띕니다. 한반도 이북 지역의 지도와 함께 '북한지역을 4개국이 분할 통제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합참에 요청함'이라고 돼 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한반도 통일 시 한국은 평양 외곽인 평안남도와 황해남·북도를. 미국은 강원도, 중국은 함경남도와 평안북도, 자강도, 양강도를. 러시아는 함경북도를 각각 통제합니다. 그리고 평양은 4개국 공동 담당 구역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한반도가 통일되면 우리나라가 전체를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강대국들의 통제 아래 놓이게 되는 겁니다. 「중국의 제안이라는 이 계획에 대해 "미국이 한반도 통일을 지원하기보다 중국과 마찰을 최소화해 한국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습니다.」 한미연합훈련을 놓고도 양국 간 엇박자를 드러냈습니다. 미군은 전력증강에는 관심이 없고 자국민 철수 작전에만 집중해 있다는 겁니다. 또, 미군이 통일여건 조성보다는 영변 핵시설 제거에 전투력을 집중하고 있다는 불만도 적었습니다. 이에 우리 측 합참의장이 두 차례나 연합사령관의 관심을 촉구했지만 자세 변화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료는 훈련 날짜로 미뤄봤을 때 지난 2010년이나 2011년 진행된 한미연합훈련 사후 평가 보고서로 추정됩니다. MBN뉴스 김태일입니다.
포항공대출신 22년차 최면심리상담사, "무의식은 답을 알고 있다"의 저자 석정훈 입니다. 독자 개발한 국내 유일의 미래최면상담 기법을 통해 경험한 깊은 내면의 통찰과 교훈들을 더 많은 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채널에 가입하시면 회원 전용 생방송 질의응답 영상들과 여러 혜택들을 함께 누리실 수 있답니다. (₩2,990/월) 🤍 [최면상담/강연문의] 카카오톡 🤍the깊은 🤍 mindebug🤍naver.com [최면상담 후기 모음 네이버 까페]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 사실에 대한 믿음, 할 말을 하는 용기. 조선일보◈ 조선일보가 만드는 유튜브는 다릅니다. 구독! 좋아요! 공유하기! 는 사랑입니다❤ 🔸 조선닷컴 공식 홈페이지 🤍 🔸 조선일보 무료 구독 체험 🤍 🔸 당신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채널 '오!건강' 👉🏻 🤍 구독해주세요!! ◈◈◈ 조선일보 유튜브 제작협찬 및 제휴광고 문의 ◈◈◈ 👉🏻👉🏻👉🏻 ghm🤍studioghm.com 👈🏻👈🏻👈🏻 #청년#통일#토론
[뒷담화] 통일되면 국호는 뭐가 좋을까? -그날의 행복한 상상- [역사저널 그날]
*본 강의의 내용은 (사)우리역사바로알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이번 시간에는 "우리 민족끼리 통일 가능할까?"라는 주제에 대해 탐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 사실에 대한 믿음, 할 말을 하는 용기. 조선일보◈ 조선일보가 만드는 유튜브는 다릅니다. 구독! 좋아요! 공유하기! 는 사랑입니다❤ 🔸 조선닷컴 공식 홈페이지 🤍 🔸 조선일보 무료 구독 체험 🤍 🔸 당신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채널 '오!건강' 👉🏻 🤍 구독해주세요!! ◈◈◈ 조선일보 유튜브 제작협찬 및 제휴광고 문의 ◈◈◈ 👉🏻👉🏻👉🏻 ghm🤍studioghm.com 👈🏻👈🏻👈🏻 #청년#토론#통일
여러분! 통일한국의 모습을 상상해보거나 친구들과 이야기 나누어 본적이 있나요? 통일이 되면 우리에게는 무엇이 좋을까요? 우리 함께 미래행 열차를 타고 통일 한국으로 한번 떠나 볼까요?
#통일 #남북 #문광스님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포항공대출신 23년차 최면심리상담사, "무의식은 답을 알고 있다"의 저자 석정훈 입니다. 독자 개발한 국내 유일의 미래최면상담 기법을 통해 경험한 깊은 내면의 통찰과 교훈들을 더 많은 분들과 나누고자 합니다. 채널에 가입하시면 회원 전용 생방송 질의응답 영상들과 여러 혜택들을 함께 누리실 수 있답니다. (₩2,990/월) 🤍 [최면상담/강연문의] 카카오톡 🤍the깊은 🤍 mindebug🤍naver.com [최면상담 후기 모음 네이버 까페] 🤍 00:00 하이라이트 영상 00:39 방송 시작 01:02 내담자 사연 요약 04:32 미래 체험 최면 06:43 인간관계 07:46 지난 삶의 상처 08:44 명리 공부 09:08 엄격하고 도덕관념이 강한 내담자 09:40 미래 내담자의 조언 10:21 공부가 막힐 때 10:42 칭찬하고 싶은 점 11:54 누가 내담자를 보냈나요? 12:12 내담자는 어떤 존재인가요? 12:41 세상 밖으로의 한걸음 14:13 공부의 진로 14:28 명리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16:06 얼마나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16:50 사람 대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후배들 18:02 상처 주지 않는 대면 방법 19:28 정리와 해설 25:38 미래를 알 수 있는 방법 26:16 미래를 걱정하는 사람들 27:29 국가의 운명 28:15 응집된 에너지가 드러나는 시기 28:58 갈등, 분열, 반목하는 이유 29:22 남북 분단(멀지 않은 통일) 30:25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31:19 교류를 통해 천천히 통일 31:35 통일 거부하는 사람들 32:01 통일된 한국의 모습(대략적인 시기) 32:36 세상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33:36 소장님에게 전하는 메시지 35:35 남은 삶을 살아갈 내담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37:14 체험 중 가장 좋았던 장면을 느끼며 최면 종료 38:17 정리와 해설 50:19 최면 상담 후 소감 (위 챕터 내용은 구독자이신 🤍Michaelmas_daisy 님께서 정리에 큰 도움을 주셨답니다. 늘 감사드려요^^)
〈앵커〉 북한이 전쟁을 한다면 장기전 대신 전술핵과 재래식 무기를 동원한 속전속결 전략을 생각하고 있다고 국정원이 국회에 보고했습니다. 또 국내 반정부 세력들에게 북한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보도에 박찬근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주말 순항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최근 군사 동향에 대해 국정원은 북한이 전쟁을 한다면 재래식과 전술핵 무기를 결합한 단기전을 생각하고 있는 게 명백하다고 국회 정보위에 보고했습니다. [유상범/정보위 국민의힘 간사 : 북한의 전력을 볼 때 북한이 만일 전쟁을 한다면 장기전은 불가능하고 단기전의, 속전속결의 단기전으로써 전쟁을 치르려는 의지가 강하게 보인다….] 또 북한의 해군력이 열세인 상황에서 현재 400m에서 800m 사이, 혹은 1천500m 상공에서 지속적 폭발 실험이 있었다며, 이는 전술핵 위력을 실험하는 것으로 국정원은 판단했습니다. 한·미·일 연합에 대응하는 북중러 연합 움직임도 강화해 지난 7월 방북한 러시아 국방장관이 김정은 총비서를 만났을 때 북·중·러 연합훈련을 공식 제의한 걸로 파악했다고 국정원은 밝혔습니다. 북한이 국내 공조 세력이나 지하망에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활동을 하도록 지속적으로 지령을 내렸다는 설명도 나왔는데, 해당 질의를 한 민주당 김의겸 의원은 특정 세력에게 지령을 내렸다는 의미가 아니라, 북한 언론 매체를 통해 공개적으로 이야기를 하면 남한에 있는 사람들이 그 의미를 알아차리고 행동하지 않겠느냐는 취지의 답변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정원은 김 총비서의 딸 김주애의 후계자설에 대해서는 북한은 남성 위주 백두혈통에 대한 집착이 강해 현 단계에서 후계자로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영상취재 : 이찬수, 영상편집 : 이재성, CG : 제갈찬) ☞더 자세한 정보 🤍 #SBS뉴스 #8뉴스 #북한 #전술핵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 ▶SBS 뉴스 라이브 : 🤍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통일 #남북통일 #한반도통일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통일이 불가능한 이유 1. 통일 불가능 0:00 2. 미국이 통일을 반대하는 이유 0:33 3. 중국이 통일을 반대하는 이유 1:52 4. 일본이 통일을 반대하는 이유 3:10 * Music Ross Bugden - Fall 🤍youtube.com/watch?v=Bln0BEv5AJ0
#당신이몰랐던이야기 #북한 #통일 #김정은 #김정일 #통일비용 #군대 #독일통일 #베를린장벽 #당몰이 참고자료 및 출처 🤍 🤍 🤍 🤍:8443/pdf/pdfView.do?nodeId=NODE11175575 🤍 🤍 🤍 🤍 🤍:8443/Detail/Ar?key=3401996 🤍:8443/Detail/Ar?key=3691502 🤍:8443/Detail/Ar?key=2939843 🤍
북한의 생생한 리얼썰만 모았다! 통일하면 북한에서 부자가 될 수 있다? 통일 후..이 직업은 반드시 뜬다!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매주(일) 밤 11시 방송
윤대통령 "북한 인권 상황 알려야…통일 갑자기 올 수도"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통일부 신년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북한인권 상황을 우리 국민에게 정확하게 알리는 동시에 북한 주민에게도 실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또 통일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탈북민의 정착 지원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지성림 기자입니다. [기자] 통일부 업무 계획을 보고받은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 인권 상황을 널리 알려야 한다고 특별히 강조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우리 국민이, 또 전 세계 사람들이 북한 인권의 실상과 북한의 정치·사회 상황을 알고 공유한다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북한 주민들도 가능한 한 실상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북한 주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윤 대통령의 '실상 공유' 언급을 두고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탈북민들이 우리 사회에서 어떤 대접을 받는지 북·중 국경 등을 통해 북한에 다 알려진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통일 준비의 중요성도 강조하며 통일부가 관심을 갖고 탈북민 정착 지원에 힘써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통일은 갑자기 찾아오겠죠. 그러나 준비된 경우에만 그것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 권 장관은 윤 대통령에게 '올바른 남북관계 구현'과 '통일미래 준비'를 올해 통일부 업무의 주요 추진 방향으로 보고했습니다. 권 장관은 "꽉 막힌 남북관계에 대화의 길을 열기 위해 민간의 대북 접촉 재개를 지원하고 국제기구 등을 통해 접촉면도 넓혀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곧 출범할 통일미래기획위원회를 중심으로 '신통일미래구상'을 수립하고 통일미래 비전과 추진 전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 (yoonik🤍yna.co.kr) #윤석열_대통령 #통일부_업무보고 #북한인권 #탈북민정착지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
#이만갑 #북한 #북한붕괴 극심한 식량난으로 민중 봉기가 일어나고 정권이 불안해지면서 붕괴가 된다?! CIA가 예측한 북한 붕괴 시나리오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 매주(일) 밤 11시 방송
【앵커】 북한 핵미사일 위협으로 남북관계가 고착 상태에 빠져 있지만 통일을 기원하는 발걸음은 5월의 주말에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경기도가 마련한 특별열차를 타고 DMZ를 찾은 시민들은 "북핵 위기일수록 통일 준비에 더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갈태웅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이 지난달 쏜 화성-18형 ICBM. 일본 홋카이도 쪽으로 날아갔지만 일본은 궤적을 놓쳤습니다. 내륙으로 낙하한다는 오경보까지 발령돼 홋카이도 시내버스가 운행을 멈추기도 했습니다. 한반도 역내 안보 불안이 다시 고조되는 순간이었습니다. [하마다 야스카즈 / 일본 방위상(지난달 14일): 파악하고 있는 부분이 없어서요. 죄송하지만 어쨌든 자세한 내용은 지금 분석 중이기 때문에 시간을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플랫폼으로 들어서는 열차. 한달 전의 일본과 달리 삼삼오오 앉은 승객들의 표정은 평화롭습니다. 차창 밖으로도 평화로운 농촌 풍경이 펼쳐집니다. 종착역은 남측의 마지막 열차가 다니는 곳, 도라산역입니다. 경기도가 편성한 DMZ 평화열차는 대북 위기에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김동연 / 경기도지사: 남쪽에서 보면 마지막 역인데 통일이 되면 북으로 가는 첫번째 역이 될 것입니다. 평화와 통일을 위해서 함께 매진하도록 하십시다.] DMZ 평화 걷기에 참여한 시민들도 미리 준비해야 할 통일을 생각해봅니다. [손병인 / 서울시 노원구: 전쟁을 겪은 세대는 아니기 때문에 DMZ에서 하는 행사에 참여하면 분단 국가, 통일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통일의 중추가 될 경기도. 마음 놓고 북측으로 가는 열차에 오를 날을 기다리며 DMZ를 거닐었습니다. OBS뉴스 갈태웅입니다. ▶ O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OBS 뉴스 기사 더보기 PC : 🤍 모바일 : 🤍 ▶ OBS 뉴스 제보하기 이메일 : jebo🤍obs.co.kr 전화 : 032-670-5555 #경기도 #통일 #DMZ
2016.01.02 방영 '오늘, 미래를 만나다'
11. 세계 속의 우리나라 - 통일 한국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성취기준] 세계 속에서 우리 국토의 위치가 갖는 중요성과 통일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통일 이후 우리 생활의 변화를 예측한다. 통일이되면 우리는 어떤 변화를 겪을까? 먼저 통일을 이룬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고, 통일 이후 유망 직업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독일 #통일세 #통일이후유망직업 수업의 클래스를 높이는 채널, 클래스로그 클래스로그 구독하기:🤍 원본 다시보기: 🤍 🤍 아이콘 저작권 1. Chlorophyll free icon author:Eucalyp pack:Biochemistry 🤍 2. Global voting free icon author: Freepik pack:Voting 🤍 3. University free icon author:Good Ware pack:Building 🤍
꼬리 날개에 북한 '인공기'를 그려 넣은 비행기가 활주로에 내려앉습니다. 이어 계류장으로 접근하자, 동체에 '고려항공'이란 글자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고려항공 여객기가 베이징에 착륙한 건 지난 2020년 1월 북한의 코로나1 국경 봉쇄 이후 3년 7개월 만입니다. 평양에선 별다른 승객을 태우고 오지 않았지만, 되돌아가는 오후 항공편 창구엔 긴 줄이 섰습니다. 코로나19 전파를 우려해서인지 승객 대부분은 마스크를 썼습니다. 부직포로 싼 짐꾸러미엔 누군가의 이름과 주소도 적혀 있습니다. 북한 사람들에게 개인행동은 금물, 반드시 둘 이상씩 움직였습니다. 취재진의 질문엔 묵묵부답이거나 사진을 찍지 말라며 화를 내기도 합니다. [北 고려항공 관계자 : 어이 남조선 에이! 거 치우라우 손전화기!] 이륙 1시간 반 전엔 번호판이 '133'으로 시작하는 북한 외교 차량 2대가 귀빈 주차장에 들어왔습니다. 마스크를 낀 백발 노옹이 주변의 부축을 받아 휠체어로 옮겨타는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2년 전 임기를 마치고도 귀임하지 못한 지재룡 전 중국 주재 북한 대사로 추정됩니다. 비슷한 시기 말레이시아에서 추방당한 김유성 대사를 비롯해 국경 봉쇄에 발이 묶였던 간부와 식솔들이 먼저 귀국길에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 달, 항저우 아시안 게임도 앞둔 만큼 상하이를 비롯한 다른 국제 노선도 조만간 복원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촬영편집 : 고광 자막뉴스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동체서용#2] 주역대가 야산 이달 남북 통일 관련 예언 알림: 채널에서 빠져있다 재업로드된 영상입니다. 이미 보신 분이 계실 수 있습니다.
분단 이후 남북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지금까지 어떤 만남과 노력들이 이루어졌을까요? 일타강사 큰별쌤 #최태성 선생님과 이 영상 하나로 한반도 통일을 위한 발자취를 알아봅시다! #역사 #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615남북공동선언 #104선언 #2018남북정상회담 페이스북 : 🤍 공식 홈페이지: 🤍
헌법에도 명시돼있고 온 국민이 염원하는 과제! 통일! 통일은 이루어질까요? 통일했을 때 생기는 장점은? 통일은 경제적 효과가 클까? VS 아닐까? 청소년 주변의 문제들 청소년의 관점으로 토론! 우리들의 민주주의 위원장 도티! 통일문제와 한국경제 중 하나를 선택해 해결해야 한다면? 📍 방송 일자: 6월 19일 (토) 11시 ~ #국회방송 #NATV #민주주의 #도티 #변호사 #청소년 #통일 #헌법 #경제 #이산가족
100분토론에서 나온 최진기 인문학 강사의 통일 비용 3분 강의입니다. 통일 비용이 너무 커서, 통일이 두렵다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최진기 강사의 통일 비용과 분단 비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2023/05/08 두레국제학교 채플 김진홍 목사 설교 제목: 성서한국 통일한국 선교한국 성경본문: 로마서 8장 16~17절 16 성령이 친히 우리의 영과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언하시나니 17 자녀이면 또한 상속자 곧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 한 상속자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할 것이니라 * 두레국제학교 입학 문의: 031-865-8585 * 창조과학관 건축 헌금 계좌: 농협 351-1261-9942-43 두레온라인교회